hfgf

기계자동차공학전공

산업의 기반을 이루는 기계공학은 적용 분야가 넓고 다양하여 학생들이 적성에 맞는 분야에서 각자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고 창의력을 발휘하기 쉽다. 대학원과정에서의 기계공학은 공학적 창의성을 바탕으로 산업 기반의 전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연구 및 설계개발 능력을 보유한 전문 연구 및 기술 인력양성을 목표로 하며, 각종 역학 및 IT 관련 로봇 및 제어를 포함한 특성화 산업 분야의 교과목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심도 있는 교육을 제공한다.

전기·전자공학전공

전기·전자전공에서는 4차 산업사회에 적응하고 이를 선도할 수 있는 공학도 양성을 목표로 한다. 전기전자분야의 폭넓은 전문기술을 습득하고, 급변하는 최신학문과 기술을 겸비하여 현장감 있는 기술을 접할 수 있도록 함을 교육목표로 한다.

컴퓨터공학전공

컴퓨터공학전공은 컴퓨터분야의 기술 발전과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을 주도할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학문과 기술을 배운다. 본 전공에서는 교과과정을 산업체에 적합한 체계적인 트랙중심으로 구성한 임배디드 시스템 트랙,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트랙, 정보보호 트랙, 유비쿼터스 컴퓨팅 트랙을 두어 이들 트랙과 관련된 이론 및 응용에 대한 고급과정의 다양한 기술을 습득한다.

정보통신공학전공

정보화 사회에서 올바른 가치관을 지니고, 지식기반 사회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창조적이고 종합적인 능력을 갖춘 전문기술인으로서, 범세계적인 공동체의식을 갖게 하며, 인류에 능동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세계인의 양성을 목표로 함께 노력합니다.

건축공학전공

건축공학전공에서는 건축설계, 건축 환경 및 설비, 건축구조, 건축시공에 관한 전문지식을 습득할 수 있으며 공무원, 건축사, 시공회사 대표 등으로 이루어진 동문들과의 상호협력관계를 통해 원주 지역의 건축문화를 이끌어 갈 수 있는 건축전문가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토목공학전공

창조적인 전문인, 실용적 학문인, 실천적 봉사인, 자주적 세계인을 양성하는 한라대학교의 교육목표를 근간으로 토목공학의 광범위한 학문분야에 관한 기초 지식과 현장 적응능력의 배양, 그리고 올바른 가치관의 확립을 통하여 미래지향적인 고급기술자의 양성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는다.

AI정보보호전공

AI정보보안전공은 2021년 교육부 첨단 분야 인재양성 촉진 정책과 2022년 우리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VISION 2030) 4차 산업혁명 혁신 특성화 교육 확대 계획에 따라 2023년 신설되었으며, 개인정보보호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안전한 데이터 활용 분야의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또한 데이터 보안 환경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보호 관리 및 법제도, 범죄 심리, 안전한 데이터 활용 기술 등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무 능력을 함께 습득할 수 있다.

미래자동차공학전공

미래자동차공학전공은 미래자동차의 새로운 변화와 패러다임에 부응할 수 있는 융복합 핵심기술을 보유한 혁신적인 공학인 양성을 목표로 한다. 앞으로 필요한 친환경 및 인간 친화형으로 대변되는 미래 자동차(그린카, 스마트카) 개발을 위해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IT/소프트웨어,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융합이 필수적이므로, 융복합 기술을 중심으로 교육하여 미래 자동차 산업 관련 분야의 경쟁력을 높이는 교육을 실시한다.

철도전기신호공학전공

철도전기신호전공은 첨단철도산업에서 요구되는 전기 및 신호시스템 기술을 심층적으로 다루는 전문 교육 과정으로 고속철도, 도시철도, 스마트 철도 시스템 등에서 핵심이 되는 전력공급, 신호연동, 무인 운전 기술, 통신기반 열차제어 시스템 등에 대한 이론과 실무를 통합적으로 학습한다. 철도 운행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고급 기술 인력양성을 목표로 하며, 공공기관 및 민간철도관련 산업체의 인력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철도건설공학전공

철도건설공학전공은 토목공학, 교통공학, 구조공학 등 다양한 공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철도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이론과 실무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철도 노선계획, 터널 및 교량 구조 설계, 시공기술, 안전관리, 유지보수 시스템 등 철도 전반에 걸친 전문 교육을 통해 졸업 후에는 공공기관, 건설사, 엔지니어링사, 연구기관 등 다양한 분야의 도시교통 인프라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다.

철도기계차량공학전공

철도기계차량공학전공은 철도차량의 설계, 제작, 유지보수 및 성능개선에 필요한 기계공학적 이론과 기술을인 차량동역학, 구동시스템, 제동장치, 차체구조, 궤도-차륜 상호작용, 차량 진단 및 예지정비 등 철도차량의 전 생애주기에 걸친 공학적 요소를 다루며, 고속철도 및 도시철도차량의 특성에 대한 실무 중심 교육을 제공한다. CAD/CAE 기반 설계, 차량 정비 실습, 진동 및 충격 해석, 신뢰성 평가 등을 학습하며, 졸업 후에는 철도차량 제조사, 정비기업, 차량엔지니어링사, 연구기관 등에서 철도기계차량 분야의 핵심 기술 인력으로 진출할 수 있다.

철도운영관제시스템전공

철도운영관제시스템 전공은 철도운행의 안전성과 정시성 확보를 위한 운영효율성 향상과 운전 및 관제 기술을 체계적으로 교육한다. 철도운영기관의 경영 효율성 향상 방안, 열차운전 원리, 운행계획 수립, 열차제어 시스템, 관제센터 운영, 위기상황 대응 등 철도운행의 전 주기에 걸친 이론과 실무를 통합적으로 다루며, 특히 자동열차제어(ATC), 통합관제시스템(CTC), 열차무선통신 등 첨단 철도관제기술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을 통해 실제 운전 및 관제 환경을 체험하며, 졸업 후에는 철도운영기관, 운전 및 관제 전문 인력 양성기관, 스마트 철도시스템 개발 기업 등에서 철도운행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다.